보이스 피싱 당한 후 대처 순서 방법

 현대 사회에서는 인터넷 활용이 더욱 증가함에 따라 우리의 개인정보가 노출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만약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상황에 처했다면, 아래와 같이 대응 절차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 정보 노출 당했을 경우

보이스 피싱을 당한 것 중에 경 중을 따질 수는 없지만, 그나마 다행인 것으로 개인 정보(신분증)만 노출 되었을 때입니다. 개인 정보가 노출 됐을 때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해결하시면 되겠습니다.

개인정보 포털 사이트 사진
개인정보 포털 사이트

금융 감독원 사이트 사진
금융감독원 개인정보노출자 사고예방시스템 사이트

  1. 상황 파악 및 평가 : 개인정보가 노출되었다는 사실을 인지하면, 바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정확히 어떤 정보가 노출 돼었는 지 확인하고, 어떻게 노출되었는지 파악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합니다.
  2. 금융 감독 원 개인정보 노출 상황 보고하기 : "금융 감독 원 개인정보 노출 자 사고 예방 시스템"을 통해서, 사고 신고를 등록하도록 합니다. 등록을 하게 되면, 개인 정보와 관련된 모든 서비스들(대표적으로 은행 업무)이 막히게 되며, 금융 관련 거래가 이뤄질 경우, 추가적인 본인 확인을 요구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사이트 회원 탈퇴 : 대표적으로 스팸 문자를 여러 통 받게 될 경우, 노출된 정보가 어떤 웹사이트에 가입이 되어, 퍼져 나가고 있다는 반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회원 탈퇴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사이트 회원 탈퇴 방법은 우선 조회를 해야 하는 데, "개인정보 포털" 사이트를 통해, 본인 명의로 가입된 웹 사이트들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만일 발견하게 된다면, 탈퇴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4. 그 후 신분증 재발급을 하고, 시간이 지난 후, 개인 정보가 안전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금감원의 사고 예방 시스템을 통해 해제 신청을 하면 됩니다.

금융 거래 관련 일을 당했을 경우

금융 거래와 관련하여 보이스 피싱을 당했을 경우는 신속히 다음 절차를 진행하도록 합시다.
  1. 금감원(국번없이 1332), 경찰서(국번없이 112)에 전화해서 보이스 피싱 사고 신고 및 지급 정지 신청하기.
  2. 경찰서에 방문하여, 경찰 조사 받기.
  3. 신분증 재발급 받기(주민등록증은 주민 센터, 운전 면허증은 면허 장 또는 경찰서)
  4. 파출소로 가서 "사건 사고 확인 원" 서류를 여러 부 받기
  5. 확인 원을 들고, 직접적으로 피해를 당한 주거래 은행을 방문해서 사고 신고 및 피해 구제 신청하기
  6. 사고가 일어난 주 거래 은행 계좌의 계좌 내역을 모아두기(프린트, pdf 등등)
그 외 도용 당했을 당시의 핸드폰 번호를 바꾸지 말고, 데이터를 백업 후, 공장 초기화를 해서 사용하도록 합시다.(번호를 바꿀 경우, 번호 확인을 해야 하는 이중 수고를 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모든 통화 내용을 녹음하고, 보이스 피싱과 관련된 자료들은 모두 모아두어 잘 보관하시기 바라며, 소송 준비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 하도록 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맥 바탕화면 파일 및 폴더 정렬 방법

엑셀 숫자 합계 및 숫자가 포함된 셀 개수 구하는 방법

윈도우 여러 개 복사 붙여넣기 방법